스킵네비게이션

조선백자

조선백자의 이해

백자의 개념

백자는 입혀진 유약의 색깔이나 가마의 조건에 따라서 눈같이 흰 설백색(雪白色), 우윳빛이 도는 유백색(乳白色), 약간 파르스름한 색을 머금은 청백색(靑白色) 등으로 나타난다.

조선백자의 계통

  • 조선백자는 연질백자와 경질백자로 나누어지는데, 연질백자는 태토가 약간 무르고 우윳빛 유백색(乳白色) 유약을 발랐으며 표면에는 미세한 빙렬(氷裂)이 그물처럼 나타나 있는데, 고려청자와 함께 소성되었던 고려백자 계통으로 15C까지만 제작되었다. 경질백자는 눈같이 희고 단단한 설백색(雪白色) 태토에 투명한 백자 유약을 발라 구운 중국 원·명 계통으로, 조선시대 전 기간에 걸쳐 제작되었다.

백자의 관요(官窯)

  • 조선시대는 전국의 전국의 자기소(磁器所)와 도기소(陶器所)의 규정이 명문화되었고, 특히 왕실에서는 좋은 그릇을 만들기 위하여 양질의 백토가 많이 생산되는 광주(廣州)에 왕실의 그릇을 주관하는 사옹원(司饔院)의 분원(分院)을 설치하여 생산을 직접 감독하게 하였다.

순백자

  • 순백자는 백자를 만드는 원료인 태토와 유약 이외에 다른 물질을 사용하지 않는 순수한 백색의 자기를 말한다. 순백자에는 아무 문양도 없는 소문(素文), 음각, 양각, 기벽을 뚫어서 문양을 나타낸 투각(透刻)) 등의 기법이 있다.

상감백자

  • 상감백자는 백자 표면에 문양을 음각하고 이곳에 구우면 검은색으로 나타나는 자토(紫土)를 메운 다음 표면을 매끄럽게 다듬어 유약을 발라서 구운 것으로 15세기에만 제작되었다.

청화백자(靑華白磁)

  • 청화백자는 산화(酸化) 코발트(Co)를 주성분으로 하는 안료로 문양을 그린 뒤 투명하고 파르스름한 백자 유약을 입혀 번조한 것으로 중국 원명의 영향을 받아 성행한 그릇이다. 초기에는 수입 코발트를 사용하였으나 가격이 비싸 세조 년간에 국산이 개발되었다고 본다.

철회백자(鐵繪白磁)

  • 철회백자는 백자 표면에 철사(鐵砂) 안료로 문양을 그렸는데, 문양은 갈색이나 흑갈색을 띤다. 철회백자의 제작은 조선 초부터 말까지 계속되었고 문양이 대담한 것, 치졸(稚拙)한 것, 추상적인 것, 해학적인 것, 회화적인 것 등 시대와 가마에 따라 많은 차이가 있다.

진사백자(辰砂白磁)

  • 진사백자는 산화동(酸化銅)으로 문양을 그린 것으로 문양은 붉은 색을 띤다. 우리 나라 도자기는 붉은색을 잘 사용하지 않아서 고려시대에도 진사청자가 매우 드문데 조선시대에는 진사백자가 18세기부터 제작되기 시작하여 그 이후 유행하였다. 문양은 대부분이 치졸하거나 해학적으로 시문되었다.

철채(鐵彩), 진사채(辰砂彩), 청화채(靑華彩)

  • 백자 표면의 전부 또는 일부에 철사 안료를 칠한 철채, 산화동으로 칠한 진사채, 코발트 안료를 칠한 청화채 등의 장식 기법이 있다. 조선 후기의 분원 백자에서 이러한 기법들이 적극적으로 수용되어 한 작품에서 철채와 청화채 또는 진사채와 청화채등 두 가지가 함께 사용되기도 하였다.

만족도조사

현재 열람하신 페이지를 평가해 주세요.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