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본문바로가기
주메뉴바로가기
밀양시관련홈페이지
밀양시청
문화관광
밀양시의회
일자리지원센터
국가상징
이용안내
사이트맵
로그인
Language
English
Chinese
Japanese
닫기
검색어
통합검색
맑음
맑음
11℃
미세먼지
21㎍/㎥
좋음
초미세먼지
8㎍/㎥
좋음
밀양시 문화관광 홈페이지 주메뉴
전체메뉴
로그인
전체메뉴 닫기
밀양 방문의 해
밀양 방문의 해 소개
홍보 사진 및 영상
홍보대사
프로그램 및 이벤트
프로그램
이벤트
교육관광
인센티브
주요행사
밀양관광
밀양8경
영남루 야경
시례 호박소
표충사 사계
월연정 풍경
위양못 이팝나무
만어사 운해
종남산 진달래
재약산 억새
3대신비
여름에 얼음이 어는 얼음골
사명대사 비석에 흐르는 땀
종소리 나는 만어사의 경석
관광명소
산/강/계곡
사찰/유적지
공원/기타관광지
어린이놀이터
영화드라마촬영지
밀양촬영지
오구촬영지
똥개촬영지
청풍명월촬영지
방자전촬영지
이달의 아주 핫한 여행지
이달의 아주 핫한 여행지 확인하기
테마관광
추천코스
시내권코스
무안코스
삼랑진코스
얼음골코스
표충사코스
일정별코스
당일코스
1박2일코스
2박3일코스
탐방투어
사명대사유적지탐방
전통사찰을찾아서
사적지탐방
전통가옥탐방
석탑별탐방
걷고싶은길
밀양아리나
영남루 수변공원길
추화산성길
금시당길
힐링꽃길
밀양강 둔치
상동 명품 장미꽃길
초동 연가길
밀양연꽃단지
산외면 해바라기
삼문송림 구절초
하남 명품십리길
하남 명례 메밀꽃
내일5통 테마길
별달굽이길
곱돌길
달빛쌈지길
백중놀이길
밀양시티투어
시티투어안내
코스상세보기
향교서원 풍류투어
향교서원스테이 1박2일
살아 숨쉬는 향교서원
신청하기
온택트 밀양여행
VR투어
영상여행
역사 · 문화
밀양아리랑
대한민국 3대 아리랑
밀양아리랑이란?
밀양아리랑 영상
밀양아리랑 음원
밀양아리랑 서체
밀양아리랑 로고
박물관/기념관
시립박물관
밀양독립운동기념관
의열기념공원
미리벌민속박물관
한천박물관
얼음골축음기소리박물관
보현박물관
충혼탑
문화유산
국가지정문화재
도지정문화재
등록문화재
문화유적
문화시설
밀양아리랑아트센터
청소년수련관
밀양아리나
밀양영화고등학교
축제 · 체험
행사 · 공연 일정
일정 확인하기
축제/민속놀이
밀양아리랑대축제
밀양아리랑마라톤대회
지역별 축제
민속놀이
추화산성봉수제
체험코스
부북면 퇴로고가체험
정보화마을
황토체험관
농촌체험휴양마을
농촌교육농장
표충사템플스테이
미리미동국
밀양시국궁장
새미음식문화 예술촌
한천체험관
밀양치즈스토리
밀양강 오리배
체육시설
밀양시시설관리공단
음식 · 숙박 · 쇼핑
음식
전체
모범음식점
위생등급지정업소
착한음식점
밀양돼지국밥
숙박
밀양 도재래 자연휴양림
호텔
모텔/여관
펜션/민박
기타
야영장
자동차 야영장
일반 야영장
쇼핑
특산물
전통시장&대형마트
밀양팜(농특산물쇼핑몰)
관광안내
커뮤니티
공지사항
밀양사진 이벤트
공모전 수상작
관광안내책자신청
관광정보
종합관광안내소
관광가이드북
등산안내도
Yes! 펫존
교통정보
공중화장실현황
내가짜는여행코스
여행코스 만들기
#감성추천밀양여행
문화관광해설
문화관광해설사소개
문화관광해설신청
밀양시청
이용안내
관광검색
관광해설
밀양시 인스타
밀양시 블로그
밀양시 유튜브
TOP
전체메뉴
메뉴
VR Tour Service
밀양여행VR
역사·문화
하위메뉴펼치기
밀양아리랑
대한민국 3대 아리랑
밀양아리랑이란?
밀양아리랑 영상
밀양아리랑 음원
밀양아리랑 서체
밀양아리랑 로고
박물관·기념관
시립박물관
밀양독립운동기념관
의열기념공원
미리벌민속박물관
한천박물관
얼음골축음기소리박물관
보현박물관
충혼탑
문화유산
국가지정문화재
국보
보물
사적
명승
천연기념물
중요무형문화재
도지정문화재
유형문화재
무형문화재
기념물
등록문화재
문화유적
민속문화재
문화재자료
문화시설
밀양아리랑아트센터
청소년수련관
밀양아리나
밀양영화고등학교
Home
역사·문화
밀양관광
테마관광
역사·문화
축제 · 체험
음식.숙박.쇼핑
관광안내
이용안내
밀양 VR 투어
밀양 방문의 해
문화유산
밀양아리랑
박물관.기념관
문화유산
문화시설
도지정문화재
국가지정문화재
도지정문화재
등록문화재
문화유적
PRINT
링크
SHARE
밀양시 페이스북
밀양시 트위터
밀양시 블로그
밀양시 인스타그램
밀양시 유튜브
밀양시 카카오스토리
무형문화재
총
3건
의 문화유산이 등록되어 있습니다.
(
1
/ 1 Page)
검색어를 입력하세요
검색
1
무안 용호(龍虎) 놀이
분류
도지정문화재
위치(주소)
밀양시 무안면 동부1길 13
문의처
무안용호놀이보존회
소개
보유자 현황 정영선(보유자) : 남(1934. 08. 25), 소도구제작 - 밀양시 무안면 무안리 812 이우택(보유자) : 남(1942. 03. 22), 꽹과리 - 밀양시 무안면 무안리 822-8 조희원(보유자) : 남(1952. 03. 22), 소도구제작 - 밀양시 무안면 무안리 763-13 류철목(후보자) : 남(1958. 03. 07), 꽹과리. - 밀양시 무안면 운정리 142-4 강순자(후보자) : 여(1959. 03. 15), 꽹꽈리 - 밀양시 삼문강변로 60 102동 703호 (삼문동 유한강변맨션) 용호(龍虎)놀이의 기원과 유래는 기록이 없어 정확히 알 수 는 없으나, 이곳 고노(古老)들의 증언에 의하면 예로부터 정월보름(上元)을 전후하여 3-4일간 악귀를 쫓고 풍년을 기원하는 마을행사로 전래해 왔다고 한다. 줄다리기 형태가 변하여 끄는게 아니고 어깨에 메고, 줄위에 대장(大將)이 지키고 있는 깃발을 뺏는 놀이로 변한 것인데, 무안은 지세가 동서로 양분되니 동을 용촌(龍村)이라고 불러 웅용(雄龍))이 되며, 서를 호촌(虎村)으로 불러 자호(雌虎)가 되는 셈이다. 일제 강점기에는 일시 중단되었다가 1960년대부터 다시 부활되었다. 용호놀이는 모두 6마당으로 나눠어져 있는데 : 첫째마당은 : 정월 14일에 하는 마당으로 전의를 앙양하기 위해서 용촌에서는 범의 먹이인 양(羊)으로, 호촌에서는 용이 탐내는 여의주(如意珠)로 분장하고 탈을 쓴 오방신장(五方神將)이 호위하여 풍물에 맞추어 춤을 추며 시위행렬을 하고 집집마다 방문하여 지신밟기를 하여 안가태평(安家太平)을 빈다. 둘째마당은 : 놀림마당이라고 하여 보름날 아침에 풍물과 춤 그리고 가장행렬로 각각 상대의 마을에 찾아가서 농담을 퍼부어며 사기를 떨어트리고 전의(戰意)나 준비상황을 둘러보고 온다. 셋째마당은 : 부름마당이라 하여 전투를 위하여 서로 어러는 장면이다. 농악대를 선두로 기(旗), 창(槍), 검(劍)을 앞세우고 줄이 따른다. 줄의 길이는 50m, 줄의 너비는 약 1m 정도로 줄위에는 용호(龍虎)의 목우(木偶)를 올려놓고 대.중.소장(大.中.小將)이 타므로 받침판이 만들어져 있음이 줄다리기와 다른 점이다. 넷째마당은 : 발마당이라 하여 부름마당에서 서로 맞부딪쳐 전투태세가 갖추어 지면 싸움에 앞서 하늘에 고한다. 용과 범은 벌떡 일어나 꿈틀거리면서 하늘을 향해 큰절을 세 번한다. 드디어 싸움마당이다. 농악과 춤은 격양되고 용호의 줄은 서로 빙빙 돌면서 상대방에게 좀체로 기회를 주지 않는다. 공격은 꼬리에서부터 하기때문에 올라타지 못하게끔 도는 것이다. 다섯째마당은 : 싸움마당으로 마침내 여의주는 용의 머리로, 금양(金羊)은 범의 머리로 옮아가서 대장이 지키고 있던 깃발을 빼앗아 돌아오면 이기는 것이다. 진편은 큰 줄을 내려놓고 대성통곡을 하고, 이긴쪽은 영기(令旗)를 흔들고 함성을 지르며 원위치에 돌아온다. 여섯째마당은 : 열림마당으로 싸움이 끝나면 이긴편은 선두로 줄을 메고 양편이 함께 어울려 화합과 친목의 판굿을 벌인다.
2
법흥상원(法興上元)놀이
분류
도지정문화재
위치(주소)
밀양시 단장면 법사길 77
문의처
법흥상원놀이보존회
소개
보유자 현황 손득현(보유자) : 남(1933. 12. 16), 상쇠, 총괄 - 밀양시 단장면 법사길 79 손기후(보유자) : 남(1933. 05. 11), 신북 - 밀양시 단장면 법사길 160-14 남정곤(후보자) : 남(1958. 10. 10), 북 - 밀양시 단장면 법사길 72-3 손기환(후보자) : 남(1953. 01. 15), 종쇠, 피리 - 밀양시 단장면 법사길 손영조(조교) : 남(1931. 08. 28), 북 - 밀양시 단장면 법사길 86 손영해(조교) : 남(1939. 12. 05), 잡색 - 밀양시 단장면 안법1길 55 정환주(조교) : 남(1947. 08. 26), 북 - 밀양시 단장면 구미길 39 구순화(조교) : 여(1947. 12. 13), 북 - 밀양시 단장면 법사길 160-6 손기복(조교) : 남(1963. 06. 25), 연출, 중쇠 - 밀양시 단장면 법사길 79 이 놀이는 밀양시 단장면 법흥마을에서 오랜 옛날부터 전해오는 세시풍속의 하나로서 원래는 "법고상원놀이"였으나 이웃마을과 합치면서 마을 이름이 법흥으로 바뀌어져 "법흥상원놀이"로 불리워지게 되었다. 매년 정원대보름(上元)에 온 마을 사람들이 당산나무앞 넓은 마당에 모여 마을과 집안의 평안과 풍년을 비는 놀이로 오늘에 이어져 오고 있다. 해뜨기전 신북(神鼓)을 올려 마을의 안녕과 한해의 풍년을 비는 당산제(堂山祭), 지신(地神)밝기와 용왕(龍王)풀이, 신랑(新郞)다루기, 장작윷놀이, 달맞이를 할 때 춤과 노래가 곁들어지는데 주민의 화합의 마당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색이다. 1. 당산제(堂山祭) : 해드기전 신북이 울리면 온마을 사람들이 신북과 당산기를 앞세우고 마을을 한바퀴 돈 다음 당산앞에 모여 당산제를 올리며 부녀자들은 촛불과 소지를 올리고 이어 판굿과 한마당 놀이판을 벌인다. 2. 지신(地神)밝기 : 풍물꾼들은 가가호호 대문 앞에서 " 이 집 대주 문여이소, 신북뫼셔 들어간다. 금년한해 태평세월 복사이소! 복사이소!"라고 외치면서 성주풀이, 조왕굿, 새미굿, 용왕굿 등을 한다. 3. 헌신랑(新郞)다루기 : 갓 장가든 신랑이 처가에 왔을 때 처제, 처족들이 밧줄로 신랑을 거꾸로 메달아 다루며 장모가 술상을 차려오면 풀어주는 단자놀이를 말한다. 새신랑을 소(牛)로 가장시켜 논갈이놀이를 할 때, 왕고모(王姑母)내외는 허수아비놀이를, 고모(姑母)내외는 우장(雨裝)을 입고 큰머슴놀이를 한다. 4. 장작윷놀이 : 어른 아이 할 것 없이 남녀노소가 한데모여 편을 짜서 번갈아 윷가락을 던지는『장작윷놀이』를 한다. 길이가 50cm, 둘레가 20cm 나가는 밤나무 또는 참나무로 된 윷을 한 사람이 4짝을 다 잡아 던지는 것이 아니고, 네사람이 일열로 서서 각기 윷 한가락씩을 동시에 던져 놀이를 하는 것이 특색이다. 5. 다리밟기( 橋) : 정월대보름달이 뜰 무렵에 다리밟기를 한다. 양가집 부녀자들은 사람들이 붐비기 전에 하는데, 나이 수대로 다리위를 오가며 주머니에 팥알을 넣었다가 다리위를 한번 건널적 마다 한알씩 물에 던지며 "내다리 쇠다리 되어 주이소"하고 빈다. 이렇게 하면 그 해에는 다리가 튼튼해지고 병치래를 하지 않는다고 한다. 6. 달집태우기와 콩볶기 : 달이 뜨면 달집을 태워 모든 액(厄)을 불사르는데 불을 지르는 사람은 그 해의 신혼부부(新婚夫婦)가 하고, 이는 생남(生男)을 기원(祈願)하는 뜻인데 이때 부녀자들은 다리미에 콩을 담아 달집불에 볶아 나누어 먹음으로써 액을 물리치고 복(福)을 받는다고 한다. 7. 판굿 : 달이 산정(山頂)에 떠오르면 한바탕 판굿놀이가 시작되는데 노래와 춤으로 온마을 사람들과 관중들이 화동(和同)의 한마당으로 대단원을 이룬다.
3
감내(甘川)게줄당기기
분류
도지정문화재
위치(주소)
밀양시 내일중앙2길 19(내일동)
문의처
밀양민속예술보존회
소개
보유자 현황 김경호(보유자) : 남(1930. 12. 09), 농요 - 밀양시 산내면 송백리 711 이용만(보유자) : 남(1940. 01. 10), 소도구제작 - 밀양시 부북면 감천리 337 박종우(후보자) : 남(1961. 08. 14), 괭과리, 북 - 밀양시 가곡동 728 권오채(후보자) : 남(1947. 12. 04), 통발, 농발, 소도구 - 밀양시 부북면 퇴로리 322-2 하용부(조교) : 남(1955. 12. 19), 춤장단 - 밀양시 부북면 가산리 박동영(조교) : 남(1952. 03. 25), 상쇠 - 밀양시 가곡동 728 부북면 감내(甘川)에서 정원대보름(上元)을 전후하여 주민의 화합과 인근마을과의 반목(反目)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된 독창적인 민속놀이 이다. 감내(甘川)는 밀양의 진산(鎭山)인 화악산(華岳山)에서 흘러 내리는 물이 감내를 거쳐 응천강(凝川江 : 일명 南川江)으로 합류하여 낙동강에 이른다. 이곳 상감(上甘), 중감(中甘), 하감(下甘)지역에는 옛부터 게가 많았는데, 서로 좋은 게잡이터를 차지하려고 싸우므로 인심이 나빠지게 되자,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마을 어른들이 게 모양의 줄을 만들어서 당겨 이긴쪽이 먼저 터를 잡도록 한 것이 동기가 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이 놀이는 마주 보고 당기는 줄다리기와는 반대로 줄을 어깨에 걸고 엎드려서 서로 등을 지고 끄는 것이다. 이 놀이가 언제부터 전해지기 시작했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일반적으로 하는 마을단위 줄싸움의 변형된 놀이로 볼 수 있다. 감내게줄당기기는 3마당으로 나뉘어져 있는데 : 첫째마당은 : 앞놀이라 하여 놀이에 앞서 마을의 안녕과 풍농을 기원하며 줄싸움의 필승을 서낭신께 빈다. 당제(堂祭)를 마치 양편은 제 위치에서 오방 신장 터밟기로 부정(不淨)을 닦는다. 이어서 밀양덧배기 춤판으로 흥을 고조시킨 다음 앞소리에 따라 곁줄을 드리고, 마당안에서는 농발놀이를 하여 수농부(首農夫)를 뽑아서 작두말을 태우고 구유와 지게 목발로 장단을 쳐서 "밀양아리랑"을 부르며 덧배기춤을 추어 사기를 복돋운다. 이 기세를 몰아서 줄을 당기기에 유리한 터(陳) 빼앗기를 한다. 둘째마당은 : 게줄당기기의 본놀이로서 선출된 수농부끼리의 싸움인데, 게잡이할 때 사용하는 대발을 말아서 서로 밀기도 하고 작은 줄을 당겨서 겨루기도 한다. 이섯이 끝나면 그동안에 드린 곁줄을 왼줄에 메고 한바탕 춤을 벌인다. 드디어 게줄을 당기는 본놀음에 들어간다. 게의 등처럼 생긴 지름 2m 가량의 둥근 원줄에다 양편에서 가운데는 12m 줄, 그 양쪽에 10m줄, 맨 양가에는 8m의 줄 등 모두 5개씩을 달고 한줄에 5명씩 총 25명이 어깨에 걸고 엎드려서 상대편과 등지고 끈다. 일정한 시간내에 중앙선을 먼저 넘어면 이긴다. 셋째마당은 : 뒷놀이 마당으로 게줄당기기의 폐자는 일제히 앉아 있고 이긴 편은 모든 도구와 함께 그해 좋은 게잡이터를 차지하게 되며 춤과 노래로 장내를 돌다가 진편을 일으켜 세워 함께 어울려 화동(和同)하는 춤을 추며 대단원을 이룬다. ※ 특징 : 정월대보름(上元)놀이로서 제의성이 강하고 출전시에는 사전에 서낭신의 신탁(神託)을 받아야 하며, 줄은 몸과 마음이 깨끗한 사람을 골라 원세끼로 꼰다. 이웃 마을과의 화합을 위한 놀이이며, 줄의 형태가 소박하고 끄는 방식 또는 특색이 있어 학생들의 놀이로 적합한 것이다.
1
1
만족도조사
현재 열람하신 페이지를 평가해 주세요.
평가:
매우 만족
(5점)
만족
(4점)
보통
(3점)
불만족
(2점)
매우 불만족
(1점)
의견:
등록
담당자 :
문화예술과
전화 :
055-359-5638
이전배너보기
다음배너보기
배너일시정지
밀양시청
문화체육관광부
경남관광 길잡이
한국도로공사
물사랑 홈페이지
대한민국 구석구석